자료 아카이브는 아이트래킹, 뇌파(EEG), 표정 분석, 행동 연구와 같은 인간 행동 측정 분야의 개념과 학술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보관하는 공간으로 연구자와 실무자가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다양한 학문적 자원을 공유하며, 실제 연구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 베리슨 유저를 위한 자료의 경우, 열람을 위해 패스코드가 필요할 수 있으며 연구 자료 아카이브의 내용을 참조 인용 시, 출처를 반드시 기재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Eye Tracking] 인지 부하의 지표로서의 동공 반응
인지 부하 지표로서의 동공 반응 우리가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데 있어 보는 행위는 반드시 필요한 부분입니다. 눈의 움직임은 단순히 관심있는 것을 바라보는데 그치지 않고, 우리의 생각이나 집중 상태를 보여주는 신호가 됩니다. 시선 추적 기술을 이용해 동공 반응을 살펴보면, 정보를 얼마나 잘 처리하고 있는지, 얼마나 부담을 느끼는지를 알아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인지 부하(Cognitive load)란 무엇인가? 1980년대 교육 심리학자 [...]
[Eye Tracking] 눈의 움직임, 그 속에 숨겨진 인지 과정: 응시점(fixations)과 단속운동(saccades)
눈의 움직임, 그 속에 숨겨진 인지 과정: 응시점(fixations)과 단속운동(saccades) 응시점(Fixations) : 시각 정보의 '흡수' 단계 우리가 무언가를 볼 때, 눈은 단순히 감각 정보를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기관에 그치는 것이 아닌, 끊임없이 움직이며 정보를 능동적으로 탐색하고, 뇌와 상호작용하며 복잡한 인지 과정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눈의 움직임 중 가장 기본적인 두 가지가 바로 응시점(Fixations)과 단속운동(Saccades)으로 뇌의 정보 처리 방식을 이해하는 중요한 [...]
[Eye Tracking] 아이트래킹(eye tracking, 시선추적)의 역사
아이트래킹(eye tracking, 시선추적)의 기원 아이트래킹(eye tracking, 시선추적)의 기원 아이트래킹(eye tracking, 시선추적)은 현대 과학 기술로 분류되지만, 그 기원은 19세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879년 프랑스 안과의사인 루이스 E. 자발과 M. 라마르가 독서에서 시각적 인지를 분석하기 위한 관찰 연구를 진행했습니다¹. 이 실험에서는 응답자가 읽는 책 위에 거울을 놓고 눈의 움직임을 관찰했습니다. 관찰된 읽기 패턴은 사람들이 문장 내에서 일부 [...]
[Eye Tracking] 시선추적(eye tracking) 이란?
시선추적 (Eye Tracking) 이란? 시선추적, 아이트래킹, eye tracking, gaze tracking.. 간략히 말해, 시선추적(아이트래킹, eye tracking)은 인간의 시각 행동에 대해 심도있는 이해를 가능케 하기 위해 눈 움직임(eye movements)을 측정하는 생리학적 시스템입니다. 이것은 시선추적기(아이트래커, eye tracker)를 사용하여 눈이 '보는 순서와 위치'를 측정하여 사람들의 관심(attention)을 끄는 영역을 기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선추적 시장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시선추적기가 있지만, 적외선 비디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