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자문 서비스
시선추적 기술을 사용하여 학술 · 학위 논문을 진행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연구 자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연구 대상 및 목적에 적합한 시선추적 장비를 추천하는 것에서부터 시선추적 실험 디자인 & 설계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시선 데이터 분석 선정에 이르기까지 『시선추적 연구 전과정』을 대상으로 합니다.
아울러 연구자는 시선추적 장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실제 실험 진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이상 상황에 대한 대처와 결과 데이터의 분석 방향 등에 대해 직접 체험하고 살펴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시선추적 연구에 익숙하지 않거나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는 연구자분들이 베리슨의 연구 자문 서비스를 통해 명확한 방향성과 안정감을 바탕으로 시선추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길 희망합니다.
진행사례
오지은 |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신산업융합대학 | 2021
The study selected five small-scale food operations as visual stimuli and eye-tracking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36 female participants in a laboratory setting. Heat maps were used to visualize viewers’ visual attention on the storefronts. The eye-move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repeated ANOVA to identif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imuli in terms of average fixation duration, fixation counts and revisits. An independent t-test was also used to examine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ext and image in menu board. The significance cut-off of p-value was set to <0.05.
이은미 | 강사– 동서대학교 International College: | 2020
최근 급격히 증가한 착한 소비에 대한 관심은 기부에 관한 연구로 확장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기부메시지 표현식과 기부비율 등이 기부제품평가 및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을 뿐, 기부율과 제시된 위치의 은유적 연상 작용이 정보처리과정에 줄 수 있는 영향을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기부율-위치관계에 따라 시각적 반응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또한 시각적 주의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아이트래커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수직적 위치효과(상하) 관점에서 낮은 수준은 기부율은 하단보다는 상단에 제시된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빨리 지각되었고, 시선이 오랫동안 고정되었으며, 높은 응시비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평적 위치효과의 관점에서 나타난 지렛대효과는 자연스럽게 무게중심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Cause-related Marketing Massage(CMM)의 핵심요소인 기부율에 관한 정보는 그 수준에 무관하게 오른쪽에 제시되었을 때 시각적 주의를 집중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 역시 저기부율-위치관계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CMM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제시방식에 관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학계와 업계에 제안하고자 한다.
안세은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 2018
본 연구의 목적은 당류 저감 음료의 최적 정보 유형과 위치를 조사하여 당류 저감 음료의 정보가 음료 구매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당류 저감 음료의 최적 정보 유형을 도출하기 위해 한국인 20대부터 50대까지 총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연구 2>는 당류 저감 음료 정보의 최적 위치를 도출하기 위해 음료 주 고객인 20대부터 30대 50명을 대상으로 시선 추적 (eye tracking)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1>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당류 저감 음료의 구매 태도와 행동’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요인분석한 결과 총 4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어, 각각 미각추구요인, 건강추구요인, 경제성추구요인, 합리성추구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요인을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 1은 미각추구요인과 건강추구요인보다는 경제성추구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제성추구집단 (Economy Seeking group)’, 군집 2는 다른 군집보다 모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요인에 대해 높은 경향을 보인 ‘식생활 고관심집단 (High interest in Food Related Lifestyle group)’, 군집 3은 유행&미각추구요인을 중요시하는 ‘유행추구집단 (Popularity Seeking group)’, 군집 4는 다른 군집보다 모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요인에 대해 낮은 경향을 보인‘식생활 저관심집단 (Low interest in Food Related Lifestyle group)’으로 도출되었다.
음료 선택속성을 요인분석한 결과 총 4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각각의 요인은 정보요인, 신뢰요인, 가격요인, 감각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정보 요인 (p<.001), 신뢰요인 (p<.001), 가격요인 (p<.001), 감각요인 (p<.001)에 대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식생활 고관심집단은 다른 집단보다 신뢰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경제성추구집단, 유행추구집단, 식생활 저관심집단은 감각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
서지혜 | 학위논문(박사)–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 2017
A principal activity in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involves building a conceptual model of domain that an information system is intended to support. Such models are created using a conceptual-modeling grammar fundamental means to specifying information systems requirement. However, the actual usage of grammar is poorly understood and some issues regarding conceptual grammar such as construct overload still remain unsolved. With regard to construct overload in conceptual modeling, past studies have had some deficiencies in research methods and even have presented contradicting results. In this paper, we experimented to test whether construct overload enables conceptual models users to understand a domain more efficiently. To acquire a more complete and accurate understanding of construct overload, our study focused on three major points; the evaluation of conceptual modeling grammar semantics, research participants and domain familiarity. This paper’s key contribution is that it is one of the first studies to investigate practitioner’s aspects of construct overload employing different degrees of domain familiarity by investigating the cognitive processes of practitioner. In addition, this research reconciles conflicting outcomes by examining practical directions for model variation. The result of study will broaden the perspective on usability in the context of the conceptual model and may serve as an ontological guidance to construct overload when modelers create a conceptual model.
최선미 | 학위논문(석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패션디자인전공 | 2016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쇼핑몰의 다이나믹 프라이싱이 소비자 정보처리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아이트래킹 실험을 통해 소비자들의 정보처리에 이용되는 정보단서의 특징을 분석하여 다이나믹 프라이싱 효과에 대한 설명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편의표본 추출법에 의하여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가격정보가 가격태도와 제품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법을 실시하였다. 그 후 아이트래킹(Eye-Tracking) 실험을 통해 피험자들의 정보처리에 이용된 정보단서를 구체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격정보 제시유형(집단별)에 따른 가격에 대한 태도, 제품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 차이는 각각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n-1시점의 가격이 현재가격보다 높을 때 제품태도와 가격태도, 구매의도를 더 호의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가까운 시점의 정보가 타 시점 정보에 비해 소비자정보처리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n-1시점의 가격이 구매할 수 있는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 소비자는 제시된 가격을 이익으로 인지하고, n-1시점의 가격이 구매할 수 있는 가격에 비해 낮은 경우 제시된 가격에 구매하는 행동이 손실의 결과로 나타날 것을 예상하기 때문에 구매결정 여부를 미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격에 대한 태도와 제품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격정보 제시유형(집단별)로 가격에 대한 태도가 제품에 대한 태도보다 구매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명품이라는 고가제품에 대해 호의적인 것보다 가격에 대한 신뢰도와 만족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품은 동일하지만 가격이 유동적이기 때문에 구매상황에서 피험자들이 가격에 대한 주의를 많이 기울였다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셋째, 구매의도에 따라 가격정보 중요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트래킹에 참가한 피험자 모두 구매의도가 높은 A와C 유형에서 현재가격보다 높았던 PEAK(+)가격 480,000원과 360,000원을 위주로 응시분포도가 집중되었으며, 구매의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B와 D 유형에서는 현재가격보다 낮은 n-1가격과 PEAK(-)가격을 위주로 응시분포도가 집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불확실성하에서 현재시점에 주어진 가격으로 구매를 결정할 때 앞서 나열된 가격정보들을 준거점으로 소비자 정보처리가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구매한 소비자들은 타소비자들이 구입한 높은 가격정보를 보고 그보다 낮은 현재가격으로 사는 것이 이익이라 판단하여 제품을 구매하고, 구매하지 않은 소비자들은 타소비자들이 구입한 낮은 가격정보를 보고 현재가격에 사는 것이 손실이라 판단하여 의사결정에 반영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가격정보의 강도에 따라 소비자의 정보처리가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구매의도에 따른 가격에 대한 태도와 제품에 대한 태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유형 A, B, C, D 유형에서 구매의도가 높은 집단이 구매의도가 낮은 집단에 비해 제품에 대한 태도, 가격에 대한 태도 순으로 평균값이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구매의도가 높은 소비자들은 가격에 대한 태도 보다 제품에 대한 태도를 더 높게 평가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피험자들이 구매결정 후에는 가격에 대한 정보처리 상황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평가가 더 높아졌을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다이나믹 프라이싱을 온라인쇼핑에서 적극적으로 사용한다면 소비자들의 구매의도뿐만 아니라 해당제품에 대한 태도를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많은 가격정보를 소비자에게 제시하였을 시 정보처리에 대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구매행동을 포기할 수 있음으로 적절한 사용이 요구된다.
김실비아 |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디자인경영전공 | 2015
본 연구는 전시관 입구홀에서 관람객 주시특성에 대한 정보를 인간의 시지각적 반응이론에 입각하여 알아보고 그 특징을 분석하여 전시 공간 개선의 기초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박물관과 미술관을 포함하는 전시관은 오늘날 대중의 문화의식 함양의 공간으로서 그 의미가 점차 진화하고 있다. 전시물과 관람객 사이에서 공간적인 매개 역할 수행하는 것이 이러한 전시공간의 기본 기능이라 할 수 있으며 관람객에게 올바른 관람 정보를 제공하여 관람객이 이를 자연스럽게 수용하고 전시를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시공간에서 관람객과 가장 처음 만나며 이미지를 형성하는 공간이 바로 전시관의 입구홀이다. 관람객은 전시관 전체에 대한 상황을 이곳에서 인지하며 동시에 관람객의 다양한 요구가 입구홀을 중심으로 수용된다. 입구홀은 관람객의 이동방향을 정확히 암시해야 하며, 특히 처음 전시관을 방문한 관람객에게 정확한 시지각 정보를 전달로 주요 전시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이끌어야 한다. 이후의 동선 계획이 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시공간의 입구홀에서 관람객 시선을 추적하여 주시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경관 인식 반응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아이트래킹 실험을 통해 전시물과 공간 구성이 시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관람객 이동경로를 효과적으로 유입하고 있는지 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기존 아이트래킹 실험의 정지 정지된 화상 화면 주시가 아니라 실제 전시공간에서 이동형 아이트래커를 착용하고 공간 경험을 함으로써 보다 실제적인 공간 평가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김현진(이화여자대학교)| 이중언어학회 | 201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differences on eye fixation, saccade, and regression between Koreans and advanced non-Korean learners during a reading process using eye-tracking technology.
To comprehend the reading process between two groups, the need for precise and scientifically quantified data was evident. By using eye-tracking devices, the following was discovered.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s and advanced non-Korean learners on number of eye fixation was determined. The number of eye fixation for Koreans and advanced non-Korean learners was 66 and 114.3, respectively, which indicated that Koreans automated eye movements, instead of fixation, during the reading process. Second, the following was measured between Koreans and advanced non-Korean learners: total saccade length, saccade counts average, saccade length average, and the number of saccade letters. Total saccade length and saccade counts average were higher for the advanced non-Korean learners, but this is because the task took longer to complete for the non-Koreans. Saccade length average for the Koreans was 181.5px, while that for the non-Koreans was 143.8px. After converting the pixels to number of letters, the Koreans saccade 8 to 9 letters, while the non-Koreans saccade 6 to 7 letters, which corresponded to the result from Rayner(1997). Third, regression counts and regression rate average of the Area of Interests(AOIs) for Koreans and advanced non-Korean learners were investigated, and regression rate average for the non-Koreans(14.2 times) was higher than that for the Koreans(11.4 times). However, after investigating regression rate average between the groups, the Koreans(17.2%) showed higher rate than the non-Koreans(14.6%). Hence, Koreans showed smaller saccade counts average and regression counts, indicating that Koreans had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김현진(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 201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reading process between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readers with eye-tracking technologies.
First, during the reading process, seven foreign advanced and seven foreign intermediate Korean readers’ total fixation duration, fixation counts, and fixation duration averages were analyzed to observe the differences. Second, the divergence in saccade amplitude averages during reading process between two group of readers was measured. Third, differences in the scan path during reading were analyzed between the two group of readers. Lastly, think aloud interviews were performed after the experiment with the reader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follows: total fixation duration was shorter for advanced readers by about 8,000-9,000 ㎳, number of fixations was higher for the intermediate readers by about 1.35 counts. Also, during the reading process, the scan paths indicated that the intermediate readers processed the reading material from the questions to the main text to the answers. On the other hand, the advanced readers processed the material from only reading the title and/or the small portion of the main text, then, to reading the answers to find right portion for deciding the correct responses.
이신화 | 학위논문(석사)– 홍익대학교 대학원 : 메타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 | 2015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단차원적인 색채의 감정 데이터를 도출하는 연구에서 벗어나 피험자의 시선 반응을 실험하여 도출된 값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실험은 아이트래킹(Eye tracking)으로 진행하였고, 동일계열 색상의 색채카드와 6개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의 대표색상을 사전분석으로 각 색채 속성의 수치가 높은 색채를 추출하였다. 색채 속성은 다른 속성에 비해 색상(R·G·B), 명도, 채도, 휘도, 어두움의 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각 속성을 포함하는 색채카드를 이미지로 제작하였는데 이것을 본 연구의 실험 자극물로 설정하였다. 색상코드별로 AOI(Areas of Interest)를 설정하였으며 SMI사의 RED(Remote Eye tracking Device) 고정형 방식 실험기기를 사용하였다. 색채 속성의 특성과 아이 트래킹 실험 후 도출된 지표 값 및 실험 후 설문을 통해 드러난 색채 속성에 대한 지표 값을 비교 분석한다. 분석에서 색채 속성에 따라 나타나는 시선의 반응에서 주시 순서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Sequence가 다른 속성에 비해 빠르고 Entry time이 짧을수록, Revisits가 많을수록, Revisitors가 많을수록, Average fixation의 값이 클수록, First fixation이 길수록 주시 순서가 빠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이와 반대 되는 결과에서 주시 순서가 느리다고 표현한다. 색채가 가지는 속성인 색상(RGB), 명도, 채도, 휘도, 어두움으로 총 일곱 가지 지표 값을 비교 분석한다. 아이트래킹 실험 결과에서나 설문조사 결과에서 공통적으로 ‘채도 값이 높을 경우’, 짧은 시간 가장 빠르고 오랫동안 시선을 고정 시켰으며 반복적으로 재 주시한 피험자가 많음을 확인 하였다. 더불어 ‘어두움의 값이 높을 경우’, 주시 순서가 빠르지는 않지만 오랫동안 시선을 고정 시키는 역할을 감당 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 하였다. 색상은 ‘Blue의 값이 높을 경우’, 반복 주시 횟수가 높고 한번 고정된 시선은 오래 머무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황선정 | 학위논문(박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 2013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잡지 산업에서 주요한 현안으로 제기되고 있는 온라인상에서 적합한 광고 레이아웃 유형을 밝히고자 온라인 패션잡지광고를 레이아웃 유형에 차이를 주어 제시함으로써 제시 방법에 따라 수반되는 시각적 주의의 차이를 아이트래커를 사용하고 측정하고자 한다. 또한 광고 회상, 광고 재인,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를 측정함으로써 시각적 주의에 따른 광고 기억, 태도의 관계를 파악하여 광고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급변하는 온라인 잡지광고 매체전략 수립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인터넷 광고의 정확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노출 횟수나 클릭과 같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수단들이 아닌 실제로 소비자가 그 광고를 보았느냐 안 보았느냐의 여부가 중요하다. 또한 어떠한 광고 요소들이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각적 주의의 측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패션잡지광고 레이아웃 유혀의 차이에 따른 소비자의 시각적 주의와 반응을 살펴보고, 잡지 내 가장 효과적인 레이아웃 유형을 밝힌 후 마케팅 전략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여미 | 학위논문(석사)–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 2013
본 연구는 패션숍 파사드 디자인을 매개로, 인간의 시선 추적을 통하여, 시선 경로에 따라 나타나는 주시점에 대해 주시 시간의 주시 빈도를 찾고, 파사드 디자인의 중요성을 알리며, 이론적 체계화로 그 가치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공간 디자인 방향은 ‘소비자 중심’으로 흐르고 있으며, 그에 따라 판매 공간에서의 구매 행위는 양방향성의 복합적 행위로 나타난다. 양방향성의 복합적 행위란 기능을 위한 상품만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심리행 태 또는 경험을 포함하여 구매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은 제일 먼저 ‘보는 것’ 또는 ‘보이는 것’을 중요시 여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심리생리학적(Physiological Psychology) 측정 방법인 시점 추적 장비 아이트래킹(Eye Tracking)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데이터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주시 빈도를 아는 것과 파사드에 반영할 그 내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 고찰과 설문조사, 그리고 아이트래킹 실험에 사용될 자극물을 수집하기 위한 파사드 디자인의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눈(동공)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아이트래킹 실험과 실험 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행석 | 학위논문(석사)–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 2014
본 연구에서는 공공영역의 대표적 서비스 체계인 서울시 자치구 민원서비스와 민원실을 대상으로 디자인 방법을 적용하여 사용자 중심적 서비스 체계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민원서비스 체계는 크게 공무원과 민원인, 민원서비스, 민원실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세 가지 요소의 관계를 통해 기존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사용자 중심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사용자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발견하고 분석하기 위해 민원서비스와 민원서비스 제공 공간으로 나누어 사용자 조사를 하였으며, 서비스와 공간의 관계를 통해 해결 방안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는 첫 번째로 서울시 자치구 민원서비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전반적으로 대상을 이해하였으며, 기존의 민원서비스 분류체계와 서비스 이용 행태를 통해 민원서비스의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현재의 분류체계는 업무의 효율을 위한 공급자 중심적 서비스 체계로 민원인이 이용하는데 복잡한 절차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를 민원인 관점을 통해 바라보고 서비스 분류방식과 이용절차에 대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두 번째로 민원서비스를 이용하는 공간인 민원실에 대한 사용자 중심적 조사와 분석을 진행 하였다. 보다 객관적 결과를 얻기 위해 아이트래킹(Eye tracking) 실험 장비를 활용하여 사용자 조사를 하였다. 이 아이트래킹 실험과 분석 방법은 기존의 설문과 인터뷰와 같은 정성적 조사의 단점인 주관적 해석의 오류를 보완할 수 있는 실험 방법으로 서비스와 공간에 대한 관계를 파악하고 객관적 결과를 얻기에 효과적이다. 이 실험을 통해 지정된 네 곳의 구청 민원실에서 이용 절차 단계별로 장단점을 파악하여 사용자 중심적 민원실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 영역의 사용자 중심적인 개선의 방법을 서비스와 공간의 관계를 통해 모색하고, 객관적인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