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 부하 지표로서의 동공 반응

우리가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데 있어 보는 행위는 반드시 필요한 부분입니다. 눈의 움직임은 단순히 관심있는 것을 바라보는데 그치지 않고, 우리의 생각이나 집중 상태를 보여주는 신호가 됩니다.  시선 추적 기술을 이용해 동공 반응을 살펴보면, 정보를 얼마나 잘 처리하고 있는지, 얼마나 부담을 느끼는지를 알아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인지 부하(Cognitive load)란 무엇인가?

1980년대 교육 심리학자 존 스웰러(John Sweller)는 인지 부하 이론(Cognitive Load Theory, CLT)을 제안했습니다. CLT는 우리가 새로운 것을 배울 때 작업 기억(working memory)이 얼마나 많은 부담을 받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우리의 작업 기억은 용량과 지속 시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한 번에 너무 많은 정보를 처리하려 하면 쉽게 지쳐 버리거나 이해가 어려워집니다. 그래서 학습 자료나 교육 설계는 이 인지 부하를 고려해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전에는 인지 부하를 단순히 ‘과제의 난이도’로 여겼지만, 지금은 학습자가 실제로 느끼는 부담을 중심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측정 도구로는 NASA-TLX가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또한, 인지 심리학자 산드라 마샬(Sandra Marshall)은 ICA(Index of Cognitive Activity)라는 지표를 개발했습니다. 이 지표는 시선 추적기를 이용해 동공 크기의 변화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눈의 미세한 반응을 통해 우리가 얼마나 많은 정신적 노력을 쓰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동공(Pupil)의 해부학적 구조

동공(pupil)은 눈 한가운데에 있는 까만 구멍처럼 보이는 부분입니다. 사실 이곳은 검은색이 아니라 투명한 통로인데, 눈 속이 어두워서 검게 보입니다. 동공의 크기는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보통 약 2~8mm 정도로 변합니다. 이 크기를 조절하는 것은 동공을 둘러싼 홍채(iris)라는 눈의 색깔 있는 부분으로 2가지 주요 근육이 있습니다.

  • 홍채 조임근: 동공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이 수축하면 동공이 작아지는데, 이는 빛이 강할 때 눈을 보호하기 위해 일어납니다. 이를 동공 빛 반응(PLR)이라고 부릅니다. 또, 가까운 물체를 볼 때도 동공이 줄어드는데, 이를 동공 근접 반응(PNR)이라 합니다.

  • 홍채 확장근: 반대로 동공을 키우는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이 당겨지면 동공이 커지는데, 이는 주로 교감 신경계에 의해 조절됩니다. 덕분에 우리가 놀라거나, 흥분하거나, 정신적으로 집중해야 할 때 동공이 커지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심리감각적 동공 반응(PPR)이라고 합니다.

시선추적을 통한 인지 부하 측정

1960년대 초, 심리학자 헤스(Hess)와 폴트(Polt)는 사람들에게 난이도가 다른 암산 문제를 풀게 하면서 동공 변화를 관찰했습니다. 결과는 문제가 어려워질수록 동공이 더 크게 확장 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동공 크기가 단순히 빛의 변화 때문만이 아니라, 뇌가 얼마나 많은 인지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밝힌 계기가 되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카네만(Kahneman)과 비티(Beatty)도 기억 실험을 통해 같은 패턴을 발견했습니다. 기억해야 할 숫자가 많아질수록 동공이 더 커졌던 겁니다. 이후 많은 연구자들은 독서, 시각 과제, 문제 해결 등 다양한 상황에서 이 현상을 과학적으로 입증해 왔습니다.

오늘날 기술 발전 덕분에 시선 추적기를 통해 동공 확장을 손쉽게 연구할 수 있습니다. 최근의 기기들은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정밀도가 뛰어나, 동공 크기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다른 눈 움직임과 달리 동공은 천천히 반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너무 높은 빈도의 측정 장비가 없어도 충분히 연구가 가능합니다. 물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 빛의 영향: 동공은 빛 변화에도 민감하므로, 실험 환경의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 참가자 상태: 약물 복용이나 신경학적 이상(예: 제3뇌신경 마비)은 동공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참가자를 적절히 선별해야 합니다.

  • 분석 기준: 자극에 따른 동공 크기 변화와 반응 속도를 정확히 분석하려면, 각 참가자에 대한 기준선 데이터를 설정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1  Sweller, J. (1988). Cognitive load during problem solving: Effects on learning. Cognitive Science, 12(2), 257-285.

2  Hart, S.G., & Staveland, L.E. (1988). Development of NASA-TLX (Task Load Index): Results of Empirical and Theoretical Research. Advances in Psychology, 52, 139-183.

3  Marshall, S.P. (2002). The Index of Cognitive Activity: Measuring Cognitive Workload. In Proceedings of the IEEE 7th Conference on Human Factors and Power Plants (Scottsdale, AZ:IEEE), 5-9.

4  Mathot, S. (2018). Pupillometry: Psychology, Physiology, and Function. Journal of Cognition, 1(1), 16.

5  Hess, E.H., & Polt, J.M. (1964). Pupil size in relation to mental activity during simple problem-solving. Science, 143, 1190-1192.

6  Kahneman, D., & Beatty, J. (1966). Pupil diameter and load on memory. Science, 154, 1583-.

7  Rudmann, D.S., McConkie, G.W., & Zheng, X.S. (2003). Eye Tracking in Cognitive State Detection for HCI. In Proceedings of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odal Interfaces (ICMI’03). ACM, New York, NY, USA, 159-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