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의 움직임, 그 속에 숨겨진 인지 과정: 응시점(fixations)과 단속운동(saccades)

응시점(Fixations) : 시각 정보의 '흡수' 단계

우리가 무언가를 볼 때, 눈은 단순히 감각 정보를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기관에 그치는 것이 아닌, 끊임없이 움직이며 정보를 능동적으로 탐색하고, 뇌와 상호작용하며 복잡한 인지 과정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눈의 움직임 중 가장 기본적인 두 가지가 바로 응시점(Fixations)과 단속운동(Saccades)으로 뇌의 정보 처리 방식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응시점(fixations)은 눈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시각 정보를 얻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순간 눈의 중심와(fovea)에 맺힌 상은 가장 선명하고 세밀한데 마치 고화질 카메라로 특정 대상을 확대해서 찍는 것과 같습니다. 응시점의 지속 시간은 단순히 보는 시간을 넘어, 뇌가 얼마나 많은 인지적 노력을 기울이는지를 나타냅니다.

  • 짧은 응시점: 일반적으로 익숙하거나 단순한 정보를 처리할 때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책을 빠르게 훑어 읽을 때 한 단어에 머무는 시간은 매우 짧습니다.
  • 긴 응시점: 복잡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더 많은 인지적 자원이 필요할 때 나타납니다.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 때 한 곳에 시선이 오래 머무는 것이 좋은 예시입니다.

응시점은 시선추적 연구에서 '주의 집중'의 지표로 널리 활용됩니다. 광고 심리학이나 사용자 경험(UX) 연구에서 소비자가 어떤 제품이나 디자인에 더 오래 시선을 두는지 분석하는 것이 바로 이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단속운동(Saccades) : 시선 이동을 통한 '탐색' 단계

단속운동(Saccades)은 응시점 사이에서 일어나는 매우 빠르고, 자발적인 눈의 움직으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시선이 옮겨갈 때, 눈은 초당 최대 700도의 속도로 움직입니다. 이 과정은 뇌의 전두 안구 영역(FEF)과 두정 안구 영역(PEF) 같은 특정 피질 영역의 명령에 의해 정교하게 제어됩니다.

  • 빠른 속도: 단속운동이 일어나는 아주 짧은 순간 동안에는 시각 정보가 억제됩니다. 뇌는 이 공백을 인식하지 못하도록 연속적인 시각적 경험을 만들어냅니다.
  • 인지적 기능 반영: 단속운동은 단순히 물리적인 움직임이 아니라, 목표 지향적인 탐색 과정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기억에 의존해 특정 대상을 찾아가는 '기억 유도 단속운동'은 뇌의 기억 처리 과정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단속운동의 잠복기(latency)나 속도 같은 지표들은 뇌의 정보 처리 효율성을 나타내며, 최근에는 이러한 지표들을 활용해 파킨슨병이나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을 초기 진단하는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응시점과 단속운동의 상호작용

응시점과 단속운동은 서로 다른 역할을 하지만, 둘이 합쳐져 비로소 하나의 완성된 시각 탐색 과정을 만들어냅니다. 응시점이 정보를 '흡수'하는 단계라면, 단속운동은 다음 정보를 찾기 위해 시선을 '이동'하는 단계입니다. 이 두 움직임의 패턴을 분석하면, 뇌가 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떤 인지적 노력을 거쳐 의미를 부여하는지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응시점과 단속운동의 관계는 시각적 행동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입니다.

  • 시선추적 연구에서 단속운동과 응시점의 연속을 스캔 경로(scan path) 또는 시선 추적도(gaze plot)라고 합니다. 이 패턴은 사람이 장면이나 문서를 어떻게 탐색하는지 보여줍니다.
  • 첫 응시점까지의 시간, 응시점 지속 시간, 단속운동의 속도 및 진폭과 같은 지표를 분석하면 주의 집중, 인지 부하 및 시각적 처리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눈의 움직임은 단순히 보는 행위를 넘어, 우리의 생각과 의사결정 과정을 반영하는 중요한 단서입니다. 여러분도 주변을 관찰하며 자신의 시선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의식적으로 파악해 보는 건 어떨까요?

 

1   Russo, J.E. (1978). Eye Fixations Can Save the World: a Critical Evaluation and a Comparison Between Eye Fixations and Othe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ologie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5, 561-570.

2   Hessels, R.S., Niehorster, D.C., Nyström, M., Andersson, R., & Hooge, I.T.C. (2018). Is the eye-movement field confused about fixations and saccades? A survey among 124 researchers. R. Soc. Open sci. 5:180502.

3   Liversedge, S.P., & Findlay, J.M. (2000). Saccadic eye movements and cognition. Trends Cogn Sci, 4, 6-14.

4   Bell. L., Vogt, J., Willemse, C., Routledge, T., Butler, L.T., & Sakaki, M. (2018). Beyond Self-Report: A Review of Physiological and Neuroscientific Methods to Investigate Consumer Behavior. Front. Psychol.

5   Goffart, L. (2009). Saccadic Eye Movements. Academic Press: Oxford, p.437-44.

6   Purves, D., & Williams, S.M. (2001). Neuroscience. 2nd edition. Sinauer Associates.

7   Terao, Y., Fukuda, H., & Hikosaka, O. (2017). What do eye movements tell us about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orders? – An introduction to saccade recording in the clinical setting. Proc Jpn Acad Ser B Phys Biol Sci., 93(10), 772-801

8  Imaoka, Y., Flury, A., & de Bruin, E.D. (2020). Assessing Saccadic Eye Movements With Head-Mounted Display Virtual Reality Technology. Front. Psychiatry. 11:572938.

9   Marandi, R.Z., & Gazerani, P. (2019). Aging and eye tracking: in the quest for objective biomarkers. Future Neurol, 14-22.